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다시시작하면대요
- 캐나다공증
- 캐나다
- nodelistarraylike
- 캐나다월마트
- arraylike
- thatsok
- 캐나다운전면허
- 캐나다구경
- 같이힘내는건어떤가요?
- refocus
- 캐나다한인음식
- Feynman Technique
- 타인때문에힘들때
- 멘탈관리
- 티스토리검색엔진
- 멘탈행복
- 희한하다희안하다
- nodelistexamples
- 캐나다온타리오
- readjust
- itsnormal
- 혼자가아니에요
- nodelistarray
- 희한희안
- 희안vs희한
- 어몽어즈
- 희안희한
- amongus게임
- 멘탈
Archives
- Today
- Total
Vitabyfrank
코덱(Codec)이란? 본문
코덱(Codec)의 이해: 멀티미디어 통신의 핵심 요소
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화상 통화나 동영상 스트리밍이 가능한 이유는 무엇일까요? 바로 '코덱' 덕분입니다.
코덱이란?
코덱(Codec)은 'Coder-Decoder' 또는 'Compression-Decompression'의 줄임말입니다. 멀티미디어 통신에서 코덱은 오디오와 비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고 디코딩하는 핵심 구성 요소입니다. 쉽게 말해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'통역사'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죠.
코덱의 작동 방식
1. 인코딩(Encoding) 과정
- 원본 데이터가 네트워크로 전송하기에는 너무 크고 복잡합니다.
- 코덱이 이 데이터를 더 효율적이고 관리하기 쉬운 형식으로 압축합니다.
- 파일 크기가 줄어들어 네트워크 전송이 수월해집니다.
2. 디코딩(Decoding) 과정
- 수신측에서 압축된 데이터를 받습니다.
- 코덱이 이 데이터를 원래 형식으로 변환합니다.
- 변환된 데이터가 재생되거나 화면에 표시됩니다.
실제 활용 예시: 화상 회의
화상 회의 앱을 사용할 때의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:
- 송신 측:
- 웹캠이 영상을 촬영
- 코덱이 실시간으로 영상 데이터 압축
- 압축된 데이터가 인터넷을 통해 전송
- 수신 측:
- 압축된 영상 데이터 수신
- 코덱이 실시간으로 데이터 압축 해제
- 복원된 영상이 화면에 표시
주요 코덱 종류
현재 많이 사용되는 비디오 코덱들을 살펴보겠습니다:
- H.264: 가장 널리 사용되는 표준 코덱
- H.265(HEVC): H.264보다 향상된 압축률 제공
- VP9: 구글이 개발한 오픈소스 코덱
- AV1: 최신 고효율 코덱
코덱의 중요성
코덱이 중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:
- 실시간 통신 가능: 대용량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여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실현
- 네트워크 효율성: 데이터 압축을 통한 네트워크 대역폭 절약
- 품질 보장: 효율적인 압축/해제로 고품질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
이처럼 코덱은 현대의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기술입니다. 화상 회의, 온라인 게임, 스트리밍 서비스 등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든든한 기반이 되고 있죠.
앞으로도 더 효율적이고 고품질의 코덱이 계속해서 개발될 것이며, 이를 통해 더 나은 멀티미디어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.
'Agora > RTC (voice & video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실시간 WebRTC Screenshot, RGB vs RGBA 차이점 (1) | 2025.01.22 |
---|---|
WebRTC란? (0) | 2025.01.09 |